주식을 하다보면 많이 듣는 말중에 하나가 주식갭이라는 말입니다. 상승갭, 하락갭등의 말을 듣게 되죠.
그래서 오늘은 주식갭 뜻과 상승갭, 하락갭의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주식 갭 뜻, 상승갭, 하락갭 의미
‘갭(gap)’은 영어입니다. 갭의 사전적 의미는 공간적 틈이나 격차를 말합니다. 일정부분 서로 떨어져 있는 둘 사이의 틈을 말합니다. 갭은 주식시장에서도 많이 등장하는 용어로서 경제 뉴스나 증시 소식에 자주 등장합니다. 뉴스에 “오늘 삼성전자는 갭 상승하여” 또는 “갭 하락하여” 같은 식으로 사용합니다.
.
갭이라는 용어는 주로 주식시장에서 시세가 갑자기 폭등하거나 폭락하여 차트상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갭이라고 합니다 아래 검은색 화살표가 갭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전날 장이 마감한 후, 다음날 장이 열리기 전까지 시장에 엄청난 호재가 등장하면 이 호재로 인해서 장이 열리자마자 시가가 전날의 고가보다 높은 곳에서 형성되거나 저가로 낮은 곳에 형성됩니다. 이로 앤해서 특정 가격대에서는 아예 거래도 없이 높은 가격이나 낮은 가격에 바로 거래가 시작되는 것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주식시장이 열리면 시가(시작가)는 전날과 비슷한 가격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예기치 못한 호재나 악재가 발생하면 전날의 가격을 이탈하여 가격이 형성되는 현상을 갭이 생겼다고 이야기합니다.
갭이 발생하면 이는 매수와 매도의 균형이 깨져서 어느 한쪽으로 완전히 기울어진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2. 갭상승이 발생하는 이유
갭상승이 나오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쁠 수 있지만, 그 이유를 잘 알고 대응하실 필요가 있어요. 그래서 갭상승이 언제 발생하고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 주식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들이 장이 열리기 전인 동시호가 시간에, 전날의 고가보다 높은 가격에만 매도 주문을 낼 때 상승이 나오죠. 이렇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경우, 시장가 매수가 강하게 들어오지 않는 이상 이날의 시가가 고가가 되는 경우가 많아요.
▶ 시가가 전날 고가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호재에 확신을 가진 투자자들에 의해 시장가 매수가 강하게 계속 유입되고 순간적으로 매수세가 몰리기 시작합니다.
▶ 이에 따라 상승추세는 더욱 강해져 이날의 종가가 시가보다 더 높은가격이 시작로 시작되어 장마감까지 유지되는 경우가 있죠. 이를 갭상승이라고 하죠.
갭 상승이 나오면,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갭 하단에서는 이전에 매수타이밍을 놓친 투자자들이 매수하려고 하기때문에 갭 상단 근처에서는 주가가 반등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갭 상단이 주가의 지지선 역할을 하게 됩니다.
3. 갭하락이 발생하는 이유
갭하락이 나오면 많은 투자자들은 겁을 먹게 됩니다. 주가가 하락추세일 때, 갭 하락이 나타나면 그 추세는 더욱 강해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 주가가 계속 하락을 하면서 점점 내려갑니다. 매도할지 말지 고민하게 되죠.
▶ 이런 고민속에서 장이 마감한 후 대형 악재가 나옵니다.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이러다가 더 큰 손실을 볼 수도 있겠다는 고민 아니 공포를 느끼게 됩니다..
▶ 공포에 휩싸인 투자자들은 우선 팔자는 사람들이 생기면서 장이 열리기 전인 동시호가 시간에 전일 저가보다도 더 낮은 가격으로 주식 매도를 시작합니다..
▶ 이렇게 공포로 팔기 시작하면 시가가 전일 저가 아래에서 시작하게 됩니다. 보통 이런 경우 시가가 전날의 저가보다도 낮으므로, 주가가 싸다는 심리로 인해 시장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가 살짝 반등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갭하락이 발생하는 날은 다릅니다. 공포심리가 강한 투자자의 매도세가 주가를 주도하면서 결국 주가는 전날보다 크게 떨어져 큰 음봉으로 장을 끝내게 됩니다. 이를 갭하락이라고 하죠.
갭하락으로 주가가 크게 떨어져 싸다고 인식한 일부 투자자들이 매수에 나서서 주가가 약간 오르면 이전에 갭 하단에서 매도 타이밍을 놓친 투자자들의 매물이 같이 나오게 됩니다. 주가가 갭 하단 위로는 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보통갭의 하단 부분이 주가의 저항선 역할을 하게 됩니다.
4. 갭을 메우려는 이유
갭이 발생했을때 흔히 갭이 메워진다고 얘기하기도 합니다. 갭상승이 나왔으면 주가가 내려가거나 갭하락이 뒤따른다는 이야기인데, 항상 메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분명한 호재, 재료가 없이 갭상승이 있었다면 세력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이때는 분명히 하락세를 타며 갭을 메우게 될 확률이 높아요. 하지만 어닝서프라이즈, 경영 실적 개선 등의 호재로 기업가치 제고를 통한 주가상승이 있었다면 갭이 메워지지 않고 기업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갭은 무조건 메워진다는 것이 꼭 맞는 말이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분석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갭상승이 갭하락보다는 갭을 메우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