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마트 컨트랙트와 리카르디안 계약(컨트랙트)란 무엇인가?

반응형

스마트 컨트랙트와 리카르디안 계약(컨트랙트) 차이점

오늘은 리카르디안 계약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리카르디안 컨트랜트와 같은 말로서 이를 이해하려면 우선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에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과 리카드리안 계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스마트 컨트랙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서 자주 언급되는 개념입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디지털 전자 계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코드로 만들어진 계약으로 한 번 배포되면 인간이 개입하지 않고도 계약 실행을 검증하는 컴퓨터 프로토콜을 말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1994년 닉 자보(Nick Szabo)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요. 그는 '스스로 이행되는 자동화된 약정'이라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정의했어욧. 비탈릭 부테린이 창시한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을 처음 구현한 비트코인에서 나아가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을 본격적으로 적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라고 보시면 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작동방식

2. 리카르디안 계약

리카르디안 컨트랙트(Ricardian Contract)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확장 발전시킨 개념입니다. 1990년대 금융암호학 연구자이자 프로그래머인 이안 그리그(Ian Grigg)가 MBA 학위를 위해 공부하던 중 개발한 개념입니다. 리카르디안 컨트랙트는 기존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장벽을 낮추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시화하고 접근성을 높여 비전문가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자계약으로 보시면 됩니다. 블록체인업계에서는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위해 꼭 필요한 기반 기술이라고 보실 수도 있구요.

리카르디안 계약 작동방식

3. 스마트 컨트랙트와 리카르디안 계약의 보완성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미 합의가 끝난 디지털 전자계약으로 그 의미가 좁아요. 합의 조건대로 실행만 자동으로 하는 게 스마트 컨트랙트의 업무라서 스마트 컨트랙트가 주로 단순한 대금지불, 송금 등에 국한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반면 리카르디안 컨트랙트는 계약과 관련된 모든 조건을 기록하는 개념입니다.. 계약 이면에 있는 내용까지 모두 포함합니다. 계약의 목적,범위,당사자 등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법적 효력이 있는 디지털 문서로 전자화하고 있지요.

 

이렇게 되면 보험, 선물계약, 대출, 자산의 디지털화, 파생상품 출시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파급력일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리카르디안 컨트랙트는 디지털화된 거래 정보를 저장한 뒤 해당 기록이 법적인 효력을 발휘해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게 합니다.
 
리카르디안 컨트랙트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완재 역할을 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가 단순 합의 조건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기계만 읽을 수 있는 전자계약이라면, 리카르디안 컨트랙트는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디지털화한 전자계약 버전이라고 보실 수도 있어요

 

현재 영역을 점점 확대하여 NFT에서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리카드디안 컨트랙트(계약)의 개념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이란 둘 이상의 당사자들 간의 법적 정의를 명시하고 암호로 된 서명을 한 디지털 문서다. 스마트 계약이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도록 프로그램 소스 코드 형태로 돼 있지만 리카르디안 계약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르는 일반인들도 쉽게 내용을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 방식으로 작성됩니다..

이러한 리카르디안 계약이라는 개념은 금융 암호 전문가인 이안 그리그(Ian Grigg)가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위해 공부하던 중, 둘 이상의 당사자들이 서로 행동하기 위한 조건과 내용을 정의하면서 개발되었습니다..

또하나 리카르디안 계약의 목적은 블록체인들과 마찬가지로 투명성과 보안성의 특징을 지녔습니다. 블록체인상의 프로그램 코드인 스마트계약이 수많은 법 조항을 상세하게 표현하기엔 한계가 있고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느냐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리카르디안 계약은 현실 세계와 코드의 틈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오스(EOS) 코인은 최초로 리카르디안 계약을 사용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이오스 헌법 2.0 버전에는 분쟁 해결의 방법, 중재 포럼의 역할 등이 포함돼 있다. 또 블록 생성자(BP)가 임의로 특정 계정을 동결할 수 없다는 조항도 담고 있어요

반응형